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꽃가루 알레르기 증상 및 치료법

by 하이나뇽이 2023. 5. 25.

꽃가루 알레르기 메커니즘

꽃가루 알레르기는 사람에 따라 증상이 다릅니다. 증상의 종류에 맞추어 치료를 할 수 있고, 일상생활에서 할 수 있는 대처법으로 증상은 훨씬 더 나아질 수 있습니다. 우리 몸은 해를 끼치는 물질이 들어오면 그 이물질을 공격해서 몸 밖으로 몰아내려는 힘이 갖춰져 있습니다. 이것을 면역체계라고 합니다. 꽃가루 알레르기는 우리 몸에서 꽃가루를 해로운 이물질이라고 판단함으로써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일종의 알레르기 반응입니다. 몸에 침입해 오는 이물질을 항원이라고 하고, 그중에서도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키는 물질을 알레르겐이라고 부릅니다. 꽃가루 외에도 진드기, 먼지, 음식 등도 알레르겐이 될 수 있습니다. 꽃가루가 코나 눈으로 침입하면 그 자극으로 IGE 항체라는 물질이 만들어져 마스트 세포에 결합합니다. 이때 꽃가루는 체내에서 쫓아내야 할 이물이라고 기억합니다. 이후, 다시 꽃가루가 코점막 등에 부착되면, 히스타민이나 류코트리엔 등의 화학 물자를 방출합니다. 이 반응이 코의 점막에서 일어나면 재채기, 코막힘 증상이 생기고 눈의 점막으로 들어가면 누의 가려움이나 눈물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꽃가루 알레르기 주요 증상

꽃가루 알레르기 증상은 주로 알레르기 비염과 결막염입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의 3대 증상은 재채기, 콧물, 코막힘입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눈의 가려움, 충혈, 눈물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기침이나 목 가려움, 가려움, 피부발진, 두통 등이 나타나는 사람도 있습니다.


꽃가루 알레르기 증상 및 치료법

첫째, 코막힘 증상입니다. 코막힘은 화학물질이 혈관을 자극함으로써 발생합니다. 코 점막의 혈관이 퍼지거나 점막이 붓기 때문에 코가 막힙니다. 재채기, 코막힘 증상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이 다르기 때문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약의 유형도 다릅니다. 꽃가루가 가능한 코에 들어가지 않도록 외출할 때는 마스크를 착용합시다. 주로 류코트리엔이라는 물질이 증상을 일으키고 있기 때문에 류코트리엔의 방출을 억제하는 향류코트리엔약이 효과적입니다. 염증이 강한 경우에는 항염증 작용이 있는 스테로이드가 배합된 점비약을 처방받을 수도 있습니다. 둘째, 기침 증상 입니다. 꽃가루 알레르기는 기관지에 과민성이 높아져 기침으로 나올 수도 있습니다. 꽃가루 알레르기의 특징은 가래와 마른기침입니다. 원래 천식이 있는 사람은 천식이 악화할 수 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꽃가루가 가능한 코, 입에 들어가지 않도록 외출 시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천식이 있던 사람은 더욱 주의하고 증상이 심해지면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합니다. 셋째, 눈의 가려움 증상 입니다. 눈의 가려움은 꽃가루가 눈의 점막에 붙어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일으켜서 발생합니다. 결막은 눈꺼풀의 뒷면과 백안 부분을 덮는 점막입니다. 가려움 외에 눈의 출혈과 이물감, 눈물 등의 증상이 나올 수 있습니다. 외출 시 꽃가루 알레르기 전용 안경을 착용합시다.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키는 히스타민 등의 방출을 억제하는 항히스타민제가 효과적입니다. 염증이 심한 경우에는 항염증 작용이 있는 스테로이드가 배합된 점안약을 처방받을 수 있으며, 안압을 점검하고 투약해야 하기 때문에 안과에 가서 진찰이 필요합니다. 넷째, 피부 가려움 증상 입니다.
피부의 건조나 적색, 가려움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여성은 화장이 지워져서 수정 화장을 할 때 파운데이션과 꽃가루의 자극으로 피부염이 될 수 있습니다. 피부에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의 침입을 막는 장벽 기능이 있지만, 건조함. 등으로 피부 장벽이 약해지면 꽃가루가 침입하기 쉬워져 피부염이 됩니다.